
오늘은
의뢰인이 계시는
경기도 군포시 산본동에 위치한
계룡 아파트 현장을 찾았습니다.
저희가 이곳을 방문한 이유는
바로 베란다 (발코니) 우수관
바닥층 부분에서 문제가 생긴것인지
비가 오거나 고층 세대에서
물을 사용할 경우
어김없이 아래층 우수관 주변에서
누수가 생겨 피해가 발생되는 현장이었습니다.
문제는 관리실 측에서
발코니 샤시 (창호)에서 물이 유입되어
아래층 천장에 흔적을 남길 수도 있으니
쿠킹작업까지 거론을 하셨다는데
창호쪽 외부 건물의 구조를 보면
층과 층이 명확히 구분되어 있어
위층의 창호쪽의 문제라기 보다는
아래층 샤시에서 생긴 원인이
더 크기 때문에
쿠킹작업을 하더라도 위층이 아닌
아래층 샤시쪽에 쿠킹작업을 하시는것이
올바른 작업이라 판단됩나다.


본 작업에 앞서
의뢰인이 계시는 2층의 우수관
상태부터 꼼꼼히 점검합니다.
1층 천장에 누수 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원인이
배관의 문제인지 아니면 바닥층 홈통주변
또는 스리브의 문제인지
확인하는 작업이죠.
우습게도 의뢰인의 우수관 천장 부분에서도
이미 간헐적 누수가 있었던 것으로 파악되는데
배관을 뜯고 천장과 바닥의 스리브 상태를
디테일 하게 살펴봐야 할것 같습니다.


우선 2층 우수관 천장에 있는
스리브 상태인데
이 제품은 일반적인 스리브 형태와 조금 다른
삼각형 구조의 스리브로써
우수관이 스리브 내부까지
완전히 체결되는 형식이 아닌
삼각형 구조에 최대한 끼워지기 때문에
큰 비가 내리거나
옥상 고가수조 물탱크 드레인시
천장 이음새에 약간에 물이 젖는 현상이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원통 중앙에 튀어나온 구조 때문에
많은 물이 내려올 경우
그 부분때문에 물이 튀는 현상으로
천장이 젖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바닥 거름망 안쪽 홈통과
그 밑의 스리브가 보이는데요.

거름망까지 제거한 상태에서
바닥과 스리브의 말단 부분을 살펴 보았는데
바닥층 타일 부분과 스리브 중간 부분에
콘크리트가 위치하고 있는데
약간의 틈이 곳곳에 형성되어
있는게 발견되었어요.
그리고 사진에서는 확인이 안되지만
스리브 안쪽에 가늘게 이어진
크랙이 확인됨에 따라
바닥층 스리브가 정상적인지 않다는 판단아래
이 부분까지 고려해서 우수관 공사를
진행해는 것으로 결정합니다.


새로 교체되는 배관은
우수관 전용 방음 스핀관이 사용되었고
바닥 스리브 파손을 대비해선
파손된 스리브 전체를 커버할 수 있는
크라운 형식의 제품을 삽입하여
상부에서 내려오는 물로 인해
누수가 발생하지 못하도록
플로팅 작업을 통해 처리했습니다.
스핀관이란?
스핀관은 말 그대로 배관 내부에
스핀의 구조를 말하는데
많은양의 물을 제외한 대부분이
직관을 통해 내려올때 생기는
소음을 완벽하게 제어해 줌으로써
대형건설 현장에선 의무적으로
사용되는 제품입니다.
바닥은 타일을 커팅 후
거름망 전용 판을 깔고
커버용 거름망을 설치하여
에어컨 드레인이나 발코니 바닥 물 청소때
커버를 열어 배수를 할 수 있게 되어있는
시스템을 창작해 드렸습니다.


완벽하게 우수관 교체를 진행해 드렸고
커버링을 마무리로 모든 작업을 완료 했습니다.
사실 이번 현장은 오전에 진행되었는데
관리실을 통해 고층 세대에서 물을 버리지 말라는 방송까지 했음에도
작업내내 많은 물이 쏟아져 많은 고생을 했던 곳이에요.
특히 거품이 내려오는 것을 보아
앞 발코니에 세탁기를 사용하는 세대가 있다는 것을 발견
관리실에 철저한 확인을 해달라고 요청을 했는데요.
세탁기 전용 배수가 아닌
우수관에 세탁물을 버릴 경우 오수법 위반으로 과태료가 나올 수 있으며
배관의 악취나 겨울철 우수관이 역류하는 주범이기 때문에
피해가 발생될 경우 모든 비용은 세탁기를 사용한 세대에서
책임을 져아 한다는 사실을 꼭 알고 계셔야 합니다.



우수관 작업을 진행하기 전
1층을 방문하여 샤시쪽 누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을 드렸고
아래층에서도 쿠킹 작업을
진행하겠다는 약속을 받고
2층 우수관 작업을 마무리 했습니다.
베란다 누수의 경우
천장쪽 페인트가 벗겨지거나
곰팡이가 생기는 현상에 대해
우수관의 문제가 크긴 하지만
샤시쪽의 문제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이번 현장의 경우도
우수관 수리후 초기 누수가
어디서 시작되는지 꼼꼼히 체크하여
더이상 누수로 인한 스트레스가 생기지 않도록
거주하시는 분께서 계속해서 지켜 보셔야 한답니다.
마지막으로 2층 우수관 천장의 경우도
앞서 설명드린 것 처럼
특이한 우수관 스리브의 구조가 어느정도
원인 제공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천장쪽 배관 주변에 휴지를 감아서
물이 새는 유입의 경로를
명확히 밝혀내야 할것으로 보여집니다.